대두 Soy bean - 콩라인
2022. 11. 22. 11:56ㆍ경제 뉴스
728x90
반응형
- 메주콩으로 알고 있는 흰색의 콩
- 콩류 작물은 뿌리에 서식하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화합물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해 지력유지에 좋은 식물이다. 질소비료가 개발되기 전에는 지력을 다시 채우기 위해서는 땅을 쉬게 하거나, 똥오줌(천연비료)을 뿌리거나, 콩류 작물을 심는 것 외에는 방법이 거의 없었다.
- 5~6월에 심어 9월에 수확이 가능하고, 가뭄에 매우 약하다.
- 최대수입국은 중국으로 식용으로도 많이 소비하지만 돼지의 사료로 소비된다. 대두에서 기름을 짜내고 남은 콩 찌꺼기를 대두박이라 하는데,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돼지의 사료로 사용한다.
- 미국이 전세계 콩 수출의 40%를 담당하고, 중국이 전세계 콩 수입의 60%를 담당하고 있어 미중 무역분쟁에서 주목을 받았었다.
미중 무역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콩?
12월 미중 간 1단계 무역협의안이 타결되며 중국이 내년 5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농산물을 수입하는 데 합의했다는 소식이 언론을 통해 전해졌다. 합의가 제대로 이행이 된...
www.pressian.com
콩 생산 상위국 (생산/톤 면적/헥타르) 출처 | ||
미국 | 117,208K | 33,482K |
브라질 | 96,296K | 33,153K |
아르헨티나 | 58,799K | 19,504K |
인도 | 14,008K | 11,500K |
중국 | 11,966K | 6,640K |
콩 수출 상위국 ($) 출처 | ||
브라질 | 28.6B | 44.7% |
미국 | 25.6B | 39.9% |
아르헨티나 | 2.31B | 3.62% |
파라과이 | 2.15B | 3.36% |
캐나다 | 1.95B | 3.04% |
콩 수입 상위국 ($) 출처 | ||
중국 | 37.4B | 58.5% |
네델란드 | 2.44B | 3.82% |
멕시코 | 2.19B | 3.41% |
이집트 | 1.82B | 2.84% |
아르헨티나 | 1.76B | 2.75% |
원자재 - 곡물 Grain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agriculture+inflation 농업+인플레이션 농산물 가격인상이 원인인 물가상승 엘니뇨 El Niño 남자아이를 뜻하는 스페인어로 2~7년의 불규칙한 주기로 나타나는 열대지방 태평양의
bigbrain.tistory.com
728x90
반응형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 - 금속 Metal (0) | 2022.11.25 |
---|---|
원자재 - 에너지 Energy (0) | 2022.11.23 |
쌀 Rice - 한국인은 밥심 (0) | 2022.11.21 |
밀 Wheat - 빵, 면, 과자, 술 (1) | 2022.11.19 |
옥수수 Corn - 생산량 1위의 곡물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