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0. 16:52ㆍ마음대로 경제 공부/초보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사전
경제 방송, 뉴스를 보아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는,
한글로 말하는데도 이해가 안 되는,
경제에 관심이 있지만 단어를 몰라서 경제공부가 힘든,

초보 투자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 사전

- 사전적인 내용보다는 내가 이해한 것을 편하게 정리해 놓은 것이다
- 외국어의 경우 가능한 한 번역
- 한국어에 맞는 단어가 없는 용어는 음차 기준으로 정리했다
- 반박 시 님 말이 맞음 (그러니까 반박해 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 빠진 내용이나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 비정기적으로(생각날 때마다) 추가된다

가산금리
금융권에서 대출을 실행할 때 기준금리에 더해서 계산되는 금리
일반적으로 비공개이다
감자
Reduction of capital 자본감소의 줄임말
주식수를 줄이는 행위이며
자본이 투입되는 유상감자와 장부 위에서 숫자만 바뀌는 무상감자가 있다
어떤 이유에서든 자본의 비율이 늘어는 자본잠식을 막기 위해 사용한다
- 유상감자
자본잉여금(기업내 현금)이 너무 커져서 자본잠식이 일어날 상황,
또는 사업규모를 축소할 때 사용 하는 감자이다
자본이 감소한 만큼 주주에게 돌려주며,
자본이 주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에 실질적 감자이다
자사주 매입 후 소각과 같은 효과로
당장은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나 유동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무상감자
유상감자와는 반대로 형식적 감자라고 부르며
회계상의 자본만 줄어들고 실제 자산은 변동이 없다
대부분의 감자는 무상감자일 경우가 많으며
경영악화로 인한 자본잠식을 막기 위해 자본을 줄이는 작업이다
검머외
'검은머리외국인'의 줄임말
외국국적을 가지고 한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을 뜻하는 은어이다
자산시장에서는 외국 투자은행을 경유해 거래해서
외국 자본처럼 속이는 투자 유동성을 말한다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경제적 행동으로 발생한 이익
일반적인 경상수지는 한 국가의 무역이익을 이야기한다
수입액(-, 매입)과 수출액(+, 매출)의 합
- 경상수지와 환율
경상수지 흑자 - 국내로 달러 유입 - 외환보유고상승 - 달러 가치 하락 - 환율하락
경상수지 적자 - 국외로 달러 유출 - 외환보유고하락 - 달러 가치 상승 - 환률상승
고정금리
대출, 예금 등 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기간 동안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
고정금리인 금융 상품은 상환계획을 세우기 좋다
예금이 고정금리라면 금리 인하기에 유리하고
대출이 고정금리인 경우는 금리 인상기에 유리하다
골디락스
Goldilocks
곰 세마리 전래동화에서 유래한 단어로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딱 적절한 상태를 뜻한다
골디락스 존이라는 천문학 용어로
우주공간에서 액체상태인 물이 존재 할 수 있는,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적당한 온도의 지역을 뜻하는 단어이다
이 용어가 경제에도 사용되면서
물가 상승과 GDP성장률이 일치하고
디플레이션도 인플레이션도 없어서 금리 조정할 필요없는
이상적인 경제상황을 부르는 단어가 되었다
공황
Depression
경제의 성장이 멈추고 3분기 이상 경제 규모가 줄어드는 것
대표적인 공황은 1929년의 미국대공황과 1997년의 한국대공황(IMF시절)이 있다
공매도
Short selling, 줄여서 Short
없는 것(空)을 판다(賣渡)
일반적인 거래는 [산다 그리고 판다]의 순서이지만
공매도는 [판다 그리고 산다]의 역순이다
금융 시장에서 일어나는 매매 방식이며
대상이 되는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기대하는 배팅이다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책에서
공매도를 곰가죽을 파는 사냥꾼에 비유했다
곰을 잡기도 전에 곰가죽을 팔기로 약속한 사냥꾼은
사냥에 실패하면 시장에 있는 곰가죽을
비싸게 사서 갚아야 한다
공매도 청산
Short squeeze 숏스퀴즈, Short covering 숏커버
공매도는 팔고 나서 사는 거래방법이라 했다
공매도 거래 단계에서 사는 단계를 공매도 청산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갚는다고 표현한다
손해가 커져서 포지션 유지가 불가능해지면 강제로 청산이 된다
이때 쥐어짜인다는 뜻의 숏스퀴즈라고 부른다
숏커버는 스스로 포지션을 정리한다는 차이가 있다
교환사채
EB, Exchangeable bond
회사채인데 주식으로 교환이 가능한 채권이다
교환가능한 옵션이 있어서 금리가 약간 낮다
말만 들어도 복잡하니까 요약
- 만기까지 보유시 원금과 이자를 받는다
- 만기 전에 주식으로 바꾸는 게 가능
- 바꾸는 주식은 회사가 보유 중인 기존 주식으로 교환
- 주식으로 바꾸면 채권은 사라진다 (원금과 이자는 못 받는다)
- 주식으로의 교환은 권리 취급이라 굳이 바꾸지 않아도 된다
전환사채 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 BW도
주식을 얻을 수 있는 채권이라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소소한 차이가 있다
전환사채는 교환이 아니라 사채가 주식으로 변환된다
즉, 총주식량이 늘어난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주식을 매입할 권리를 주는 것이라
주식을 돈 주고 사야 한다, 그리고 주식을 얻어도 채권은 유지된다
관세
Tariff
세관을 통과하는 화물에 매겨지는 세금
세관을 통과한다는건 수출입하는 물건이니 국제 교역에 매겨지는 세금이다
구루
Guru, गुरु
산스크리트어로 스승,
단순히 지식을 전하는 존재가 아닌 선각자나 인도자를 뜻하는 단어
워렌 버핏, 조지 소로스, 켄 피셔 등 투자 대가를 구루라 부른다
F13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구루들의 포트폴리오를 엿볼 수 있다
구축효과
정부의 자금확보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세금과 채권발행인데
그중 채권을 발행하여 시장에 있는 자금을 정부가 확보하면
민간이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들어 투자와 소비가 위축된다
따라서 정부는 생산량 증가를 위해 재정을 확보하고 지출을 하였으나,
정부의 채권발행으로 인한 투자와 소비의 위축이
정부의 재정지출 효과를 상쇄해 버리는 현상
국채
Treasury bond, Government bond
국가 또는 정부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개인 입장에서는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받는 차용증서이다
기업보다 도산(모라토리움) 확률이 낮기 때문에 국채는 무위험 자산으로 취급된다
무위험이라서 채권금리가 낮다
여담 1, 한국과 북한의 외교관계가 좋아지면
국제채권시장에서 북한의 채권이 인기를 끈다
만약에 통일이 된다면 한국 측에서 북한의 채권을 다 상환해야 되기 때문이다
여담 2, 청나라를 계승한 중화민국, 그런 중화민국을 뒤엎고
탄생한 현 중국은 청나라를 계승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청나라 국채와 중화민국 국채는 갚지 않고 있다
금리
Interest Rate, 이자, 이율
투자의 오메가이자 알파
돈에 붙는 수익
화폐의 가격
채무자의 기회비용
또는 채권자의 상환 가능성에 따른 지표
금리를 말할 때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금리가 있다
실질금리, 중립금리, 콜금리, 국고채 금리 등
금융
Finance, 金融
돈을 흐르게 한다는 뜻의 단어이다
자본주의가 오래 지속되는 건 금융시스템 덕분이다
전통적으로 자본을 늘리는 방법은 현물을 이용하거나 약탈하는 두 가지뿐이었다
![]() 노동력(현물)을 이용해 자본을 획득하는 방법 |
![]() 타인의 노동력을 약탈해 자본을 획득하는 방법 |
하지만 상업이 발달하면서 발명되어 20세기말에 정착된
금융은 평화적?으로 자본을 증식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단순히 돈이 왔다 갔다 하는 것뿐만 아니라
돈이 거쳐가는 곳마다 마진을 붙여 추가적인 잉여 자본을 늘려서 금융은 성장한다
기준금리
중앙은행에서 발표하는 금리
한 국가 안에서 각종 금리의 표준이 된다
기업
Firm 합자회사, Company 회사, Corporation 사단법인,
Incorporation 사단법인단체, 회사, 법인, 주식회사 등
돈을 벌기 위해 모인 단체
극초기의 산업은 소유와 노동이 일치하는
가내수공업이 기본 형태로 규모가 크지 않았다
돈을 더 많이 벌고 싶은 사람들이 모여 산업의 규모가 커지게 되자
소유와 노동이 분리되게 되면서
소유자는 경영을, 노동자는 생산을 전문적으로 하게 되는 기업이 등장한다
기업의 핵심은 돈을 번다는 영리 추구가 목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부, 시민단체, 종교단체는 기업이 아니다
기업과 금융시장이 만나서 법인, 주식회사로 진화? 하게 되면
기업에 대한 책임은 줄어들면서 기업운영 자금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 이렇게 말한적 없는 루이14세 소유와 노동이 분리되지 않는 비법인 |
![]() 소유와 노동이 분리된 법인 |
![]() 나 혼자 용쓰는 에네르기파(회사) |
![]() 다같이 힘내는 원기옥(주식회사) |
기업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
잘 만들어 놓은 제품(기업)을 시장(주식시장)에 내놓는 행위
기업을 시장에 공개할 때 예상가를 적어놓는데
너무 낮게 적으면 기업이 투자금을 모으기가 힘들고
너무 높게 적으면 시장에 외면당한다
나는 IPO는 소개팅 같은 거라 본다
소개팅 자리에 나올 때 샤워하고 미용실 가고 옷도 좋은 걸 입듯이
기업도 미래매출을 끌어오고 부채를 무리하게 줄이거나 해서
재무제표를 꾸며서 나온다
소개팅 자리에서 결혼을 정하는 사람이 없듯
IPO를 보고 매수를 결정하면 안 된다
기업 지분에 따른 분류기준
- 지배회사/종속회사
다른말로 모회사/자회사
종속회사의 지분을 지배회사가 50% 초과하여 보유하여 ‘지배력 행사가 가능’할 때
또는 50%미만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인 지배력’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연결손익계산서에 [지배회사 손익 + 종속회사 손익 / 지분비율]로 계산하여 기재한다
재무제표상 [지분법이익] 항목으로 종속회사 손익비용을 확인가능하다 - 관계회사
상대회사의 50%미만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 - 투자회사
상대회사의 20%미만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경우 - 지주사
다른 회사의 지분을 50%초과하여 보유하여
종속회사의 사업을 지배하는 것을 주 사업활동으로 삼는 기업 - 계열사
같은 지배회사 아래의 종속회사들 간의 관계
기축통화
Key currency
국제 거래에서 사용되는 화폐
금, 은 같은 귀금속에서 시작해 이런저런 화폐를 거쳐서
현재(2025년 기준)는 달러가 기축통화이다
기축통화국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국가
기축통화국은 국내로 유입되는 화폐(무역 흑자 & 수출액)보다
국외로 유출되는 화폐(무역 적자 & 수입액)가 더 많기에 만성적자에 시달린다
만약 적자를 해결하겠다고 화폐의 유출량을 줄이면
국제거래에서 사용해야 할 통화의 유동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축통화의 지위가 약해진다
기축통화국이 겪는 통화에 대한 문제를 트리핀의 딜레마라고 한다
강력한 경제 안정성, 군사력, 유동성이 받쳐주어야 가능하다
권리
權利, Right
법으로 명시되어 있는 '행사 가능한' 자격 또는 힘
상식 용어를 왜 굳이 넣었냐면
옵션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개념이더라
금융에서의 권리는 행사가능하다는 부분이 중요하다
쉽게 말해 해도 되고 안해도 된다
2025 03 25 - 공매도, 공매도 청산, 기업공개, 교환사채, 권리 추가
2025 04 03 - 골디락스, 관세 추가
2025 04 08 - 검머외 추가
'마음대로 경제 공부 > 초보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사전 - ㅁ (4) | 2025.04.04 |
---|---|
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사전 - ㄹ (5) | 2025.03.29 |
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사전 - ㄷ (5) | 2025.03.28 |
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사전 - ㄴ (3)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