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사전 - ㄷ

2025. 3. 28. 20:26마음대로 경제 공부/초보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사전

728x90
반응형


경제 방송, 뉴스를 보아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는,

한글로 말하는데도 이해가 안 되는,

경제에 관심이 있지만 단어를 몰라서 경제공부가 힘든,

 

 

초보 투자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 사전

 

 

 

  1. 사전적인 내용보다는 내가 이해한 것을 편하게 정리해 놓은 것이다
  2. 외국어의 경우 가능한 한 번역
  3. 한국어에 맞는 단어가 없는 용어는 음차 기준으로 정리했다
  4. 반박 시 님 말이 맞음 (그러니까 반박해 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5. 빠진 내용이나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6. 비정기적으로(생각날 때마다) 추가된다

 


 

 

다우지수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30개 대형우량기업의 주가를 종합하여 발표하는 지수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지수이지만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 30개라는 종목 선정기준의 모호성과
시가총액이 아닌 시가를
산술평균하여 내는 지수 산출방식 때문에
S&P500에 미국 대표지수의 자리를 내어주고 있다

 

 

다우의 개

Dogs of the Dow
다우지수에 들어있는 30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전략
일반적으로 일 년에 한 번 리밸런싱 한다
다우지수 종목 중 배당률이 높은 10개 종목에 투자액을 많이 넣는 방식으로 비중을 조절한다
배당률이 높다 = 주식이 저평가되었다
배당률이 낮다 = 주식이 고평가되었다
즉, 비싼 주식에서 싼 주식으로 돈을 옮겨 담는 투자전략이다
다우를 구성하는 종목은 트렌트를 따라가지는 못하지만
초우량기업이라 매우 안전한 투자방법이다

 

 

다크팩토리

Dark factory
불꺼진 공장
완전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마트 팩토리를 말한다
인간 관리자가 없고 시각에 의존하지 않는 작업자(로봇)가
연중무휴로 24시간 내내 기동하는 공장이다
몇가지 장점이 있는데 생산품 품질이 일정하다,
미세공정에서 먼지를 극한까지 제거 가능하다, 
인적요소에 의한 오차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다 등

 

 

단기금리

만기가 1년 미만의 금리
콜 시장, 단기 국채, 1년 미만 적금 등
시장의 현재 경기를 반영하는 금리이다

 

 

단리

單利, Simple interest
모든 금융거래에는 이자가 붙는다
이자 계산 방식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나뉜다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이 단리이다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알기쉽게 알아보자
1억을 연 1% 이자로 100년간 투자한다고 할 때
단리는 100년뒤에 2억을 회수하게 되고
복리는 100년뒤에 2.7억을 회수하게 된다
별 차이가 안나는 것 같지?
같은 조건인데 이자만 3%로 바꿔보자
단리는 4억을 회수,
복리는 19.2억 회수가 가능하다
더 올려보자 이자를 6%로 바꾸면
단리는 7억,
복리는 339.3억을 회수할 수 있다

 

 

담보

돈을 빌려주는 쪽에서 돈을 못 받게 될 때를 대비해서 받아두는 수단
크게 물적 담보와 인적 담보가 있다
물적 담보는 모기지 받을 때 집이나 자동차 대출받을 때 자동차,
인적 담보는 보증 대출할 때의 보증인, 신용 대출받을 때의 나 자신이다

주식 또한 담보가 될 수 있는데
주식의 담보가치는 시가로 책정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만약 주식으로 대출받았는데 주가가 너무 떨어지면
빌린 돈을 갚거나 담보용 주식을 더 넣어야 된다

 

 

대마불사

Too big to fail, TBTF
원래는 바둑용어로 바둑에서 대마가 잡히는 건
승패가 바뀌는 일이라 집중 방어한다는 뜻이다
경제용어로 넘어와서는
파산할 수 없는(파산해서는 안 되는) 기업을 뜻하는 단어로 바뀌었다
파산하게 되면 사회전반으로 큰 파장을 끼치게 될 대기업이
위기 때마다 정부의 구조책을 믿고
무리한 사업확장을 벌이는 걸 비꼬는 말이다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B/S
기업의 재정상태를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보고서이다
복식부기를 사용해 입출금의 목적이나 성격에 따라
좌변과 우변에 각각 기록한다
2011년 한국은 국제회계기준이 적용되면서
대차대조표는 재무상태표로 변경되었다

 

 

도드-프랭크 법안

Dodd-Frank Act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겪고 나서 2010년 7월에 생겨난 금융권 규제
투자은행이 파생상품에 과도한 투자를 못하게 막고
너무 큰 리스크를 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이다

 

 

도심공동화

도심에서 지내는 비용이 너무 올라서(전월세, 임대료 등)
거주지역이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 도심의 상주인원이 줄어드는 현상이다

평지에 위치한 도시는 도심공동화, 젠트리피케이션, 스프롤 현상이 동시에 와서
도시가 도넛모양이 돼버린다
한국은 산지로 둘러싸인 지형이 덕분에 도심공동화 현상이 극심하지는 않다

 

 

대손준비금

Bad reserve
은행이 돈을 빌려주는 대출은 투자이다
모든 투자는 리스크를 안게 되는데 금융업은 리스크관리가 핵심인 업종이다
대출에 대한 리스크는 채무불이행(디폴트)이다
이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쌓아두는 돈을 대손준비금이라 한다
당연히 대상의 신용도에 따라 대손준비금은 다르다
빌 게이츠에 빌려준 100억 원의 리스크는 없다시피 하지만
회사원 A에게 빌려준 10억의 리스크는 매우 크다

대손충당금과 사실상의 차이는 없지만
회계법상 대손준비금은 자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대손준비금이 많을수록 기업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대손충당금

Allowance for bad debts
대손준비금과 똑같다
빌려준 돈을 못 받게 됐을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준비하는 돈이다

다만 회계법상 대손충당금은 비용(지출)으로 분류되어
대손충당금이 많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줄어든다는 평가를 받는다

 

 

디폴트

Default 채무불이행
'빚 못 갚겠다 배 째'
비슷한 용어로 모라토리엄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모라토리엄은  '[지금은] 못 갚겠다 배 째'이다
즉, 디폴트는 채무불이행, 모라토리엄은 채무상환중지이다
국가가 디폴트를 선언하면 국제금융에서 왕따가 될 정도로 위험한 행위이다

사족으로 중세의 디폴트는 훨씬 가벼웠다
배 째 해도 금융 피해는 지역이나 하나의 국가에 한정되었고
디폴트 선언하는 주체가 왕이나 귀족이라 추심을 진행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지금 왕인 나에게 빚 갚으라고 독촉하냐? 너 단두대'

 

 


 

2025 03 29 - 단리 추가
2025 04 02 - 대차대조표 추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