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경제 용어 사전 - ㅂ

2025. 4. 11. 16:18마음대로 경제 공부/초보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사전

728x90
반응형

경제 방송, 뉴스를 보아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는,

한글로 말하는데도 이해가 안 되는,

경제에 관심이 있지만 단어를 몰라서 경제공부가 힘든,

 

초보 투자자를 위한 제멋대로 경제 사전

 

 

 

  1. 사전적인 내용보다는 내가 이해한 것을 편하게 정리해 놓은 것이다
  2. 외국어의 경우 가능한 한 번역
  3. 한국어에 맞는 단어가 없는 용어는 음차 기준으로 정리했다
  4. 반박 시 님 말이 맞음 (그러니까 반박해 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5. 빠진 내용이나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6. 비정기적으로(생각날 때마다) 추가된다

 


 

 

 

 

바스켓거래

프로그램 매매에서 사용하는 용어
전산 프로그램으로 여러 종목을 묶어서 매매하는 것
한국거래소에서는 코스피 15개 종목, 코스닥 10개 종목을 일시에 매매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반대매매

Forced sale 강제매도, Liquidation 변제
미수나 신용거래를 이용해 주식, 선물, 옵션을 거래 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계좌를 유지할만한 자금이 부족하게 되면
증권사가 고객의 동의없이 주식, 선물, 옵션을 임의로 처분하는 행위이다

쉽게 말해 빚으로 거래를 하다가 감당하지 못하는 빚을 지게 되면
소위 빨간 딱지를 붙이는 계좌가 압류되게 된다
보통 반대매매가 터지기 전에 증권사는 고객에게 
'증거금 더 않넣으면 반대매매 나갑니다'
라는 전화를 걸어 마진콜을 알린다

 

 

뱅크런

Bank-run 대량예금인출사태

은행이 가지고 있는 현금이 모자라
예금자들의 인출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
뱅크런이 일어나면 해당은행은 파산하게 된다
은행은 지급준비제도에 의해 예금액의 일정비율만 현금으로 보관하게 된다
한국의 경우 약 7%의 지급준비금을 강제한다
따라서 예금자들이 지급준비율을 넘는 예금의 인출을 요청하게 되면 뱅크런이 일어난다

근대에는 은행은 철저하게 민간기업이라 뱅크런이 자주 일어났다
신뢰도도 낮았고 실제로 돈도 많이 떼먹기도 하고
은행간의 연계도 약했고 정부의 규제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 시대에 뱅크런에 은행이 대응하는 방법은 창구를 반만 열거나
소액 동전으로 인출해주는 방법 등으로 시간을 벌고
다른 은행이나 정부에 유동성을 요청하는 것이었다
현대에는 모두 전산화 되어서 은행간의 콜론을 이용해 빠른 자금 융통이 가능하다

SVB파산 부른 '폰 뱅크런'…이체 편리한 국내 인터넷은행 괜찮나 | 연합뉴스

 

SVB파산 부른 '폰 뱅크런'…이체 편리한 국내 인터넷은행 괜찮나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이 36시간 만에 초고속 파산한 배경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예금 인출이 지목된 가운데...

www.yna.co.kr

하지만 스마트폰이 민간에 보급되고
손 안에서 언제든 은행업무를 처리하게 되면서
SVB 뱅크런 사태 때는 36시간만에
자금이 모조리 빠져나가면서 파산하게 되었다

 

 

부채  

Liabilities

채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돈을 빌린 것
미래의 가치를 당겨쓰는 금융행위
연금이나 퇴직금 등 미래에 지불해야 할 가치도 부채로 분류된다

 

 

배당

Dividend, 이익배당
기업이 벌어들인 돈을 주주에게 돌려주는 것
예금, 채권을 이자받기 위해 투자한다면
주식은 배당을 받기 위해 투자한다
돈으로 주는 현금 배당과
주식이나 상품으로 주는 현물 배당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배당율과 주가 기대상승률이
금리보다 높아야 주식에 투자하기에
주식 투자에서 중요하다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주당 배당금 / 현재 주가 x 100 = 배당수익률
주식의 현시세 대비 배당금의 비율. 퍼센트로 표시한다
배당이 높다는 건 주가가 저평가라는 말과 비슷하다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
주당 배당금 / 주당 순이익 x 100 = 배당성향
순이익에서 배당으로 나가는 금액의 비율
회사가 주주와 이익을 나누는 정도를 나타낸다
배당만이 주주환원의 전부는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배당성향이 높다는건 주주환원에 적극적인 기업으로 볼 수 있다

 

 

복리

複利, Compound interest
모든 금융거래에는 이자가 붙는다
이자 계산 방식에 따라 
단리와 복리로 나뉜다
복리는 원금과 이자에 둘 다 이자가 붙는 방식이다

복리 계산의 요령으로 '72 규칙'이 있다
복리로 이자를 받을때 72를 년이자로 나누면
투자금이 두배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 계산이 가능하다
연이율 6%를 복리로 받게 되면 12년이 지나면 투자금이 두배가 된다
( 72 / 6 = 12 )

만일 매일 1%의 수익을 복리로 올리면서 투자한다면
1년 수익률은 20000%에 달하게 된다

복리계산기, 간편복리계산기, 주식복리계산기, 코인복리계산기 :: TOV | #토브디자인 | #토브웹 | #토브

 

복리계산기, 간편복리계산기, 주식복리계산기, 코인복리계산기 :: TOV | #토브디자인 | #토브웹 | #

간편 복리계산기, 일복리계산기, 월복리계산기, 간편 수익률 계산기, 주식 수익률 계산기, 코인 수익률 계산기, 비트코인/주식 수익률

www.tovweb.net

 

 

보호예수

保護預受, lock up
한국예탁결재원이나 증권회사, 은행권이
고객의 유가증권, 귀중품, 기타 중요 문서등을 고객명의로 보관하는 업무
주식시장에서 보호예수란 의무보호예수를 뜻한다

  • 의무보호예수
    기업이 주식시장에 공개 후 선투자자들이 매도물량을 쏟아내지 못하게 보유주식을 묶어두는 조치
    이런 조치로 인해 대주주는 기업의 실적에 공동책임을 지게 된다

 

 

비과세

Tax exemption
세금을 부과하지 아니하는 것

 

 

비중 & 비율

  • 비중
    집단에 소속된 특정 집합이 차지하는 정도
    ex) 20대 인구수 중 여자 비중
  • 비율
    Ratio, 퍼센트
    다른 집합에 비교되는 특정 집합의 크기
    ex) 20대 남자 대비한 20대 여자 비율 

 

 

비중에 따른 산업의 형태

  • 노동집약산업 
    산업의 결과물에서 인건비의 비중이 크게 차지하는 산업
    기술 수준이 낮고
    진입장벽이 저렴한 인력의 투입이
    기업의 성패를 가르게 되는 산업이다
    개발도상국에서 주력이 되는 산업형태
    ex) 경공업, 섬유, 신발등
  • 자본집약산업
    산업의 결과물에서 투입 자금의 비중이 크게 차지하는 산업
    대량생산, 생산설비 효율화등 규모의 경제를 갖추어
    생산단가를 낮추는 것이 기업의 성패를 가른다
    자금의 규모가 생산품의 품질과 가격을 결정하기에
    진입이 쉽지 않으나 일단 시장에서 자리를 잡으면
    노동집약산업보다 높은 가치를 만들어 낸다
    ex) 중공업, 자동차, 조선 등
  • 기술집약산업
    노동집약, 자본집약 산업은 양적인 차이를 만들어내는 산업이라면
    기술집약산업은 질적인 차리를 만들어내는 산업으로 가격경쟁에서 자유롭다
    단 후발주자의 끝없는 추격에 대응하기위해 R&D에 엄청난 자원이 소모되는 산업이다
    기존산업의 1등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
    신규시장을 개척하는 선구자적인 형태의 산업이다
    ex) 첨단과학, 제약 등 

 

 

비차익매매

프로그램 매매에서 사용하는 용어
차익을 노리지 않고 다른 목적으로 하는 거래
프로그램 매매에서 차익은 사고팔때의 차익이 아니라
선물과 현물의 금액 차이를 뜻한다
지수 상승이나 하방에 투자하거나, 헤지목적으로 하는 거래를 뜻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