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번스의 역설 - Jevons paradox

2025. 2. 27. 23:19잡다구리-메모, 일기, 잡다한 생각들

728x90
반응형

제본스의 역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Jevons paradox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Efficiency leads to increased demand Coal-burning factories in 19th-century Manchester, England. Improved technology allowed coal to fuel the Industrial Revolution, greatly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coal. In econom

en.wikipedia.org

 

 

 

제번스의 역설

에너지 효율이 좋아지면 사용량이 줄어들까?
실제로는 늘어난다
이걸 "제번스의 역설"이라고 부르는데,
효율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더 많이 쓰게 되는 현상이다

 

 

바야흐로 산업혁명 시기, 영국

안녕하신가! 힘세고 강한 아침, 만일 내게 물어보면 나는 증기기관
산업혁명의 핵심 기관이지

 

응 아니야 비싸고 고장도 잘나
석탄은 공짜냐 적당히 먹어야지 너무 먹어

 

프로토 타입이라 그래요 고쳐볼게요

 

안녕하신가! 힘세고 강한 아침, 만일 내게 물어보면 나는 증기기관 2호기
석탄도 덜 필요하고 힘도 더 세졌다네

 

이 정도면 석탄 많이 안 써도 되겠는데?
안 그래도 석탄 가격 비싸서 힘들었는데 잘됐다
이제 증기기관 싸졌습니다!
아껴 쓰세요!

 

진짜 싸졌네? 저 정도면 써볼 만하지.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우리는 안 써요? 나도 써보자  우리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여기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너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여기도 써보자  나도 써보자  우리도 써보자 

나는 윌리엄 제본스
에너지 가격이 싸지니까 절약하는 게 아니고 오히려 더 쓰네?
이거 신기하구먼

 

 

 

이 이론의 특징은
에너지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어떤 행동을 하는데 효율이 좋아지면,
즉 소비되는 자원(돈, 시간, 노력)이 적어지면
총행동이 증가해 줄어든 자원을 뛰어넘을 정도의
총 소비 자원 증가가 나타난다

 

자동차 연비가 좋아지면 기름값 절약되니까
더 멀리, 더 자주 운전하고

 

LED 조명이 전기세를 아껴준다고 하니까
밤새도록 불을 켜놓고

 

암벽등반가의 안전장비가 발달할수록
위험한 경로로 올라간다

 

 

 


딥시크 AI와 제번스의 역설

최근 딥시크(DeepSeek)라는 오픈소스 AI 모델이 등장했다
이 모델은 무료로 공개돼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덕분에 AI 활용의 문턱이 확 낮아졌다

 

본인 다시 등장
그런데 여기서 제번스의 역설이 또 등장!

 

딥시크 덕분에 AI를 쓰는 비용은 줄었지만,
그 결과로 사람들이 AI를 더 많이 쓰게 되었다

데이터 처리량과 컴퓨팅 자원 사용량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건 덤

즉, 효율성이 높아져서 모두가 행복할 것 같았는데,
결국 총 자원 소비는 오히려 늘어난 셈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