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105)
-
2023.11.19-2023.11.25 경제 이슈 모음
마소는 애플을 시총으로 추월하기 직전이고, 엔비디아는 중국 판매 이슈로 저조한 한 주였다 한 달 전만 해도 극단적 공포에 있던 날도 있었는데 벌써 탐욕까지 올라왔다 싱가포르 물가 다시 반등하는 듯한 모양새 그런데 금리는 동결 프랑스의 제조업&서비스 구매 관리자 지수는 예상치보다 하향 독일 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 지수는 예상치보다 상향 다행히 유럽연합도 관리자 지수도 상향 독일은 여전히 역성장 중이다 그리고 유럽연합 탈퇴한 영국의 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는 예상치보다 상향 구매관리자 지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있는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이다 즉, 공장장과 매장매니저에게 '요즘 회사 어때요?'라고 물어본 것으로, 공급 측의 의견이라 경기 선행지표 성격을 가진다 기존주택판매는 여전히 지표보다 낮게 ..
2023.11.26 -
2023.11.12-2023.11.18 경제 이슈 모음
무난하게 상승한 시장,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자리인 게 눈에 띈다(오픈AI CEO 퇴출건으로 급락) 시장의 분위기가 너무 급하게 반전하고 있다 벌써 탐욕 상태이다 미국물가지수를 나타내는 모든 지표가 예상치보다 하향했다 파월이 항상 하는 말 "데이터 보고 판단하겠다" 그런데 데이터가 조졌죠? 경기조지면 금리 내려야겠죠? 이래서 미장이 오르는 걸로 시작했는데 정작 지표에서 나온 수치를 보면 크게 차이가 안 난다 생산자 물가지수는 하회했다 소매판매는 예상치보다 낮게 나왔고 근원소매판매(=소매판매-차량시장)는 높게 나왔다 내구재의 대표 격인 자동차를 사람들이 안 산다&안 바꾼다는 뜻으로 보인다 미국 기름에 대한 지표이다 시장에 영향이 많은 것만 보면 원유재고가 예상치보다 상회했다 미국 고용에 대한 지표이다 신규 실..
2023.11.19 -
2023.11.05-2023.11.11 경제 이슈 모음
저번주의 미국금리 동결 영향으로 빅테크 위주로 시장이 상승하는 한 주였다 금리동결 이후 시장이 채권금리도 안정되고 미국시장도 7~8일 연속 상승하면서 심리지표는 일시적으로 중립으로 올라서기도 했었다 독일 물가지수 3.8% 예상대로의 지수라고 좋아해야 할지 여전히 고금리인 것을 걱정해야 할지 모르겠다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4.35%·0.25% P↑…"5개월 만에 인상"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4.35%·0.25%P↑…"5개월 만에 인상"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호주 중앙은행 연방준비은행(RBA)은 기준금리를 4.3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고 ABC 방송과 AAP 통신이 7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RBA는 이날 정례 금융정책회의를 열 www.fn..
2023.11.13 -
2023.10.29-2023.11.04 경제 이슈 모음
연준의 금리 동결, 미국재정부의 채권발행양 축소로 증시가 환호하는 한 주 심리지표도 보통에 가까운 공포이다 이번주도 뭔가 지표가 많이 떴는데 주요한 지표만 살펴보자 소비자 신뢰지수는 소비자 입장에서 본 경기를 예측한 지수이다 이번에는 예측치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는데 문제는 예측치 자체가 계속 낮아지고 있다 채용공고의 숫자에 대한 지표로 이해하면 된다 하락추세에서 반등을 주긴 했지만 흐름을 벗어났다고 할 정도로 강하게 돌린 건 아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는 기업에서 물건관리하는 사람, 총무라고 하면 되려나? 그들에게 경기에 대해 설문한 지표다 하락하던 추세를 돌려세우나 했지만 다시 하락조짐이 보인다 미국 비농업 부분 고용변화지수는 예측치보다 낮게 나왔다 미국 실업수당 신규청구건수가 예측치보다 높게 나왔다..
2023.11.05 -
2023.10.22-2023.10.28 경제 이슈 모음
하루는 빅테크를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하고 하루는 빅테크만 하락하는 등 악재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한 주였다 심리지표는 극도의 공포화 공포사이를 왔다 갔다 하고 있다 미국지표 뭔가 많이 나왔는데 중요한 것만 살펴보자 비제조업에 종사하는 관리자급인 사람들의 의견을 모은 건데 50을 기준으로 경기의 강약을 판단하는 지표이다 서서히 하락하다가 50 즈음에서 방향을 돌렸음 비제조업이라고 하면 서비스업의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사실상 서비스업지수라고 봐도 된다 미국의 원유재고가 예상치보다 많이 남아 있는 걸로 나왔다 이전 발표한 지표에서는 예측치보다 -4.1M 정도 모자라는 걸로 나왔었는데 이번주 발표한 기간 동안 기름을 많이 구매해 재놓았을 텐데도 원유가격이 안정되어 있던 거 보면 시장이 점점 이스라엘 사태..
2023.10.30 -
2023.10.15-2023.10.21 경제 이슈 모음
채권금리가 오르자 주식시장 자체에서 돈이 나가버려 지수가 내려 앉아버렸다 공포탐욕지수는 다시 극도의 공포를 향해서 내려가고 있다 소매판매가 기세가 크게 꺾이지 않고 예상치보다 높게 나왔다 미국경제를 책임지고 있는건 내수소매인데 그게 꺾이지 않는다는 건 아직은 미국소비심리가 고금리에 버티고 있는 걸로 해석된다 경기가 살아있다는 뜻은 고금리가 더 오래 갈수 있는 상황이니 살펴봐야 할 것이다 단 모든 지표는 후행지표이니 감안하고 주의 깊게 해석이 필요하다 유럽연합은 4.3% 물가를 보여주고 순조롭게 내려가는 중이다 영국 물가가 6.7%쯔음에서 하락세가 완만해지는 모양을 그리고 있다 영국은 긴축을 멈추고 지켜보고 있는데 물가를 잡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인가? 중국이 연초에 냈던 성장치 목표는 5%대였지만 ..
2023.10.22 -
2023.10.08-2023.10.14 경제 이슈 모음
채권, 금리, 우리 전쟁, 이스라엘사태 등 예측할 수 없는 사태가 자꾸 터지면서 주식시장도 어디로 갈지 몰라 눈치를 보고 있다 극도의 공포와 공포를 이틀마다 넘나드는 한 주 독일 물가지수는 딱 예상치대로 떴고 추세로는 하락하는 추세이다 고금리가 물가를 억제하고 있다 GDP는 수치만큼 나왔지만 무역수지와 생산지표는 다 지표보다 낮게 나왔다 영국도 독일, 한국처럼 경기는 안 좋은데 물가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들어간 걸로 보인다 미국의 물가지수는 대부분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긴 했는데 수치를 보면 거의 차이 없는 수준으로 나왔다 물가상승을 통제하고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 할까? 미국 원유 재고가 빵빵하게 남아있다 충분한 재고+이스라엘확전 안됨 덕분에 원유시장은 안정되어 있다 다행히 이스라엘 사태가 유가에 ..
2023.10.16 -
2023.10.01-2023.10.07 경제 이슈 모음
채권 시장이 흔들리면서 같이 흔들린 주식시장 다행히 현금흐름이 좋은 빅테크들은 빠르게 반등했지만 나머지 종목들은 묵념... 이번 주 미국 지표가 뭔가 굉장히 많이 나왔는데 대부분 예측치에서 크게 변화 없어서 시장에 별 영향은 없지만 '미국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 이 지수가 예측치보다 매우 낮게 나왔음 고용이 안 좋다는 뜻이며 고금리를 더 끌고 가기 힘들지도...?라는 뜻으로 시장이 받아들였다 일자리... 그러니까 사람을 구하는 직장의 추세가 줄고는 있지만 예측치보다 높게 나왔다 심지어 이전수치도 8.82M에서 8.92M으로 상향조정 되었다 생각보다는 경기가 덜 나빠지고 있다. 고금리 더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가능 시간당 임금은 예측치보다 약간 덜 올랐고 중요한 실업률은 코로나 직전과 비교하면 ..
2023.10.09 -
2023.09.24-2023.09.30 경제 이슈 모음
독일 물가는 고점을 찍고 점점 떨어지고 있다 영국의 전년 대비 GDP는 0.6%로 발표됐다 영국 물가가 6%인데 GDP는 0.6% 경제가 성장하는 것보다 돈의 가치가 10배나 빠르게 떨어지는 상황이다 즉 성장은 못하는데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EU가입한 국가들의 전년대비 물가는 4.3% 고금리가 다른 부작용도 많이 보이지만 물가는 확실히 잡고 있는 중 미국의 지표들이 슬슬 침체를 나타내고 있다 물가에 영향이 큰 지표가 식료품, 주택, 임금, 에너지인데 식료품은 곡물가가 안정되어 있으니 다행이고, 주택은 지표에 따르면 하향세로 보인다 남은 임금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업률과 에너지를 대표하는 원유가격을 집중해서 지켜봐야겠다 근원내구재가 무슨 말인가 싶어서 찾아보니 제조업에서 쓰..
2023.10.02 -
2023.09.17-2023.09.23 경제 이슈 모음
고금리가 생각보다 오래갈것이라고 지레짐작만 하고 있다가 진짜로 연준이 고금리를 오래 유지하겠다고 하니까 주식시장이 발작을 일으켰다 미국의 주요지수가 SVB이후 처음으로 크게 꺽였다 영국물가 6.7% 개발도상국도 아닌 G7에 들어가는 강국인데 물가가 저런 상태이다 기존 주택 거래와 신규 착공건수는 줄어들었다 다만 건축승인건수를 늘어났는데 기존에 집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은 새로운 주택담보대출을 꺼리게 되니 이사를 안하게 되지만 집이 없어서 새로 집을 구매할려는 실수요자들은 계속 발생하니 저런 수치의 괴리가 생기는 모양이다 FOMC 직후에 나온 제조업/서비스업 지수 제조업은 예상치 상회했고, 서비스업은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하락추세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예상치와의 실세수치의 차이도 크지 않은 편 ..
2023.09.24 -
2023.09.10-2023.09.16 경제 이슈 모음
아이폰 신제품 발표, 미국물가지수, 실업수당청구건수등 하루 건너 이벤트가 끊이지 않는 한 주였다 그만큼 시장도 혼란하다 미국의 물가지수가 오르긴 했는데 아주 적은 수치로 예상치보다 높게 나왔다 그런데 상승이긴 하지만 이 정도 수치로 상승이라면 오히려 예상치와 별 차이가 없다고 시장은 보았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213 유럽중앙은행, 사상 최고 수준으로 ‘핵심 금리’ 인상… 이번이 마지막? - 시사IN 유로화를 사용하는 20개 국가(유로존)의 통화정책을 관장하는 유럽중앙은행(ECB)이 \'핵심 금리\'를 사상 최고 수준으로 인상했다.ECB는 9월14일(현지 시각), “인플레이션율이 앞으로도 매우 오랫 www.sisain.co.kr..
2023.09.18 -
2023.09.03-2023.09.09 경제 이슈 모음
중국의 아이폰 관련 이슈의 영향이 미중 무역 분쟁을 재점화시키면서 중국에 매출비중이 큰 기업들, 즉 시장을 주도하던 기업들이 하락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린 저번 주 증시였다 와중에 유가상승으로 에너지주의 강세가 돋보인다 예상보다 강한 美서비스업… 긴축 장기화 고착화? [월스트리트 in] (edaily.co.kr) 예상보다 강한 美서비스업…긴축 장기화 고착화?[월스트리트in] 이번엔 너무나 강한 미국 서비스업이 뉴욕증시 발목을 잡았다. 유가 상승 속도가 가파른 가운데 서비스업이 계속 확장세를 보이면서 물가상승 우려가 재점화됐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 m.edaily.co.kr 미국의 비제조업의 지수가 생각보다 괜찮게 나왔다 문제는 현재 자산 시장의 흐름이 [Good is Bad, Bad is Good]인지..
2023.09.11 -
2023.08.27-2023.09.02 경제 이슈 모음
저번주 시장은 BAD is GOOD이었다 미국 실물경기를 좋지 않게 보는 지표들이 나오면서 시장은 연준이 더 이상 금리인상을 하지 못한다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국의 인플레는 다 잡혔고... 점점 고금리 효과가 나오는 중이다 실물경기가 위태롭고 수출이 저조하다 일본은 30년에 걸친 디플레이션에서 확실하게 벗어나는 중 인플레이션을 반기는 건지 기준금리도 한번 올리고 손 안 대고 있다 EU의 경제적 맹주 역할이던 독일은 말라죽어가는 중 러시아의 값싼 가스에 의존하던 경제가 고금리+고유가에 시달리면서 위태위태하다 제일 중요한 미국 물가는 딱 예상치만큼만 나왔고 실업수당을 새롭게 청구하는 숫자가 줄어들었음. 미국 실업률은 여전히 낮다 개인들은 전달보다 덜 버는데 더 쓰는 걸로 나왔고, 저축을 까먹고 있거나 ..
2023.09.03 -
2023.08.20-2023.08.26 경제 이슈 모음
엔비디아의 실적을 바탕올 AI테마가 이끄는 한주였다 엔비디아 실적 호조에도 2.43% 하락, 이유는?(상보) - 뉴스1 (news1.kr) 엔비디아 실적 호조에도 2.43% 하락, 이유는?(상보)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생성형 인공지능(AI) 최대 수혜주 엔비디아가 2% 이상 하락 마감했다.2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거래일보다 2.43% 하락한 460.18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3 www.news1.kr 분기마다 2배씩 가이던스를 올려서 제시하는 엔비디아의 엄청난 실적에도 너무 높은 주가를 뒷받침하기에는 무리였던걸까 파월 연준 의장 "기준금리 더 올릴 준비가 돼 있다" - 노컷뉴스 (nocutnews.co.kr) 파월 연준 의장 "기준금리 더 올릴 준비가 돼 있다" 제롬 파월..
2023.08.28 -
2023.08.13-2023.08.19 경제 이슈 모음
지난 일주일간의 S&P 500 대부분의 회사들이 견고한 실적을 발표했지만 높아진 주가를 뒷받침하지 못하면서 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 다이어트약으로 주목을 받는 바이오와 실적 발표가 엔비디아가 상승 보름전만 해도 극도의 탐욕상태였는데 이제는 공포에 접어들려고 하고 있다 엔비디아 실적발표 앞두고 목표주가 800달러 등장, "대적할 상대 없다" (businesspost.co.kr) 엔비디아 실적발표 앞두고 목표주가 800달러 등장, "대적할 상대 없다"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반도체기업 엔비디아의 회계연도 2분기 실적발표를 앞두고 증권사에서 역대 최고 목표주가가 등장했다. 주가가 지금보다 약 85%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다.1.. m.businesspost.co.kr 이제 1분기 실적 발표에서 가이던스를 기..
2023.08.21 -
2023.08.06-2023.08.12 경제 이슈 모음
정유주와 헬스케어가 선방하는 한주였다 나스닥은 조정을 받고 있다 ‘불황 없는 성장’ 가능성 높아진 미국, IMF는 세계 경제전망 상향 조정했다|주간동아 (donga.com) ‘불황 없는 성장’ 가능성 높아진 미국, IMF는 세계 경제전망 상향 조정했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작성하는 경기선행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서는 등 글로벌 경기 전망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은 7월 25일 “2023년 세… weekly.donga.com 가벼운 불황이 오는 경제상황, 말하는 연착륙도 없이 노랜딩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미국 상황 그런데 이러면 금리는... Fed may be at point to 'hold rates steady,' Harker says (shorenewsnetwork..
2023.08.14 -
2023.07.30-2023.08.05 경제 이슈 모음
미국 신용등급의 강등여파로 시장이 벌겋다. 애플, 부진한 실적 전망에 주가 4.8%↓···시총 3조달러 붕괴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미래 (sisajournal-e.com) 애플, 부진한 실적 전망에 주가 4.8%↓···시총 3조달러 붕괴 - 시사저널e - 온라인 저널리즘의 [시사저널e=이숙영 기자] 애플 실적이 시장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가총액 3조달러도 붕괴됐다. 애플은 전 세계 최초로 시가총액 3조달러를 넘긴 바 있다.애플 주가는 지난 4일(현지시각) 전거 www.sisajournal-e.com 월가, 아마존에 환호…"주가 30~40% 상승 여력 있다" < 해외주식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 월가, 아마존에 환호…"주가 30~40% 상승 여력 있다" ..
2023.08.07 -
2023.07.23-2023.07.29 경제 이슈 모음
빅테크들의 실적시즌이 시작되었다 꿈을 먹고 너무 높이 솟은 기업은 현실을 마주하는 시간이었고 시장에 무시당하던 기업은 건재함을 알리는 한 주였다 https://m.mk.co.kr/news/stock/10794292 미국, 기준금리 0.25%p 인상…올해 마지막 인상 될까 - 매일경제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26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www.mk.co.kr 파월은 올해 한 번 더 올릴 수도 있다고 인터뷰를 했지만 시장은 안 믿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만 미국의 GDP는 건재하다 아니 건재한 수준이 아니라 성장세로 돌아섰다 https://news.kb..
2023.07.31 -
2023.07.16-2023.07.22 경제 이슈 모음
AI테마로 움직였던 마소, 구글,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AMD 등이 부진한 한 주였다 SPRi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연구자료 제4차 산업혁명과 재등장한 생산성 역설 논쟁 - SPRi ▪ 인공지능 등 정보 기술의 경제적 파급력이 낮다는‘ 생산성 역설’이 대두되고 있음 ▪ 이에 대해 반대 진영은 ▲혁신의 경제적 성과가 통계 수치에서 누락되었고, ▲성과는 서서히 발현되 spri.kr AI관련해서 흥미로운 자료를 발견했다 산업혁명은 생산성의 극적인 상향을 불러왔지만 정보화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은 예전만큼의 생산성의 변화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내용. https://www.sedaily.com/NewsView/29S5LWQ5JF 미래에셋 등 국내 금융사, 2800억 홍콩 빌딩 대출 손실 위기 국내..
2023.07.24 -
2023.07.10-2023.07.15 경제 이슈 모음
이번주에는 애플이 거의 안 움직였다. 금리 관련해서 이슈가 있었는지라... 7/12 나왔던 미국 물가지수가 예상치를 하회했다. 만약 저번주에 이랬다면 침체가 오는 것이 아니냐고 걱정했을지도 모르지만 지금은 연준이 금리 올린다고 엄포한 상황이라 경제지표가 안 좋게 나오는 것이 증시에는 좋은 상황이다 마침 미국과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캐나다가 다시 금리를 인상했다. JP모건 "美 증시 전반에서 FOMO… 이르면 4분기 침체" < 해외주식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 JP모건 "美 증시 전반에서 FOMO…이르면 4분기 침체" - 연합인포맥스 올해 미국 주식시장이 기술 부문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과대 평가돼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12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BI)에 따르면 JP..
2023.07.16